경제 | 2020.08.20

산업 전반에 ‘디지털 혁신’ 추진…산업지능화펀드 4000억 조성

산업부, 디지털 기반 산업 혁신성장 전략 발표…4대 산업강국 도약
‘전기차·소재’ 데이터 플랫폼 구축…산업 데이터·AI 전문인력 1만6000명 육성

[뉴스1]   정부가 디지털 혁신을 통해 세계 4대 산업강국으로 도약하겠다는 청사진을 내놨다. 

전기차·소재 등 주력 산업 분야에서 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해 성공 사례를 만들어 내고, 이를 산업 전반에 확산 적용하겠다는 게 골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일 열린 ‘제2차 한국판 뉴딜 관계장관회의 겸 제14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이 담긴 ‘디지털 기반 산업 혁신성장 전략’을 발표했다. 

정승일 산업통상자원부 차관이 20일 오전 정부서울청사 브리핑룸에서 디지털 기반 산업 혁신성장 전략을 브리핑하고 있다. (사진=산업통상자원부)
정승일 산업통상자원부 차관이 20일 오전 정부서울청사 브리핑룸에서 디지털 기반 산업 혁신성장 전략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번 전략은 4차 산업혁명,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비대면 경제 활성화 등으로 산업 전반에서 급격하게 진행되는 디지털전환에 대응하기 위해 마련됐다.

주력 산업과 정보통신기술(ICT) 분야의 강점을 활용해 전통적인 산업 활동의 전 과정에 산업 데이터와 디지털 기술을 접목함으로써 근본적인 산업 경쟁력을 높이겠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마련된 3대 추진 과제는 ▲적시·적절한 산업 데이터 확보 지원 ▲데이터·AI를 활용한 산업 밸류체인 고도화 ▲산업 디지털 혁신 인프라 구축이다.

정부는 3대 과제를 추진함으로써 코로나19 이후 GVC 재편, 경기침체 등에 따른 우리 산업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한 단계 도약하는 계기를 마련할 계획이다.

우선 업계 수요에 기반해 적시에 적절한 데이터 확보를 지원한다.

정부는 업종별 기업, 산업 유형에 따른 다양한 데이터 특성과 협업 유형을 고려해 업계 수요에 부합하는 문제 해결형 ‘산업 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할 방침이다.

산업 데이터란 개발·생산·유통·소비 등 산업 전과정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로 구조화되지 않은 비정형의 이미지·수치·텍스트·소리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된다.

정부는 ‘산업 데이터 플랫폼’을 2025년까지 10대 주력산업 분야 30개까지 구축·확대함으로써 업계 수요가 높고 외부효과가 큰 전기자동차, 조선, 소재, 로봇, 가전 등 전략 분야를 중심으로 성공사례를 창출하고 주력산업 전 분야로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표준·특허 등 공공데이터를 활용해 AI기반의 지능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민간의 신제품, 새로운 서비스 및 새로운 비즈니스 창출을 촉진한다.

데이터·AI를 활용한 산업 밸류체인 고도화를 위해 산업 R&D 프로세스를 데이터 기반의 기획과 해결 과정으로 혁신하고, 디자인·설계 지원 플랫폼도 구축한다.

산업 R&D 전단계에 데이터·AI기반 문제정의·기획→수행과정 데이터 축적→결과데이터 환류로 이어지는 지능화 방법론을 적용하고 제조기반 새로운 서비스 창출이 유망한 자율주행차(자율주행 서비스 실증), 로봇(로봇 배달 서비스), 스마트전자(스마트홈) 등 전략분야를 발굴·지원한다.

소재·부품산업, 조선·철강 등 장치산업, 에너지 산업 등의 핵심 공정을 디지털화해 생산성 및 안전성도 높인다.

제품과 서비스의 자율 제어, 고객 맞춤형, 제조-서비스 융합 등 세 가지 방향으로 자율주행차, 지능형 가전, 서비스 로봇, 디지털 발전소 등과 같은 지능형 신제품과 새로운 서비스를 창출할 계획이다.

유통·무역 분야에서도 데이터 기반의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지능형 물류 공급망도 구축한다.

민간의 디지털 혁신 사업이 조기에 사업화되도록 규제와 펀드, 기술거래 등 사업화 지원체계도 강화한다.

산업 지능화 포럼, 융합 얼라이언스 등을 운영하면서 산업 현장에 디지털 혁신 비전을 공유·확산시켜 나간다는 방침도 세웠다.

산업 디지털 혁신 인프라도 구축한다. 정부는 이를 위해 데이터 활용을 촉진하고 민간의 지능화 사업을 지원하기 위한 법적·제도적 기반을 마련한다. 산업 데이터 활용·보호 원칙, 민간의 산업 지능화 사업 패키지 지원, 실태조사 등을 반영한 디지털 기반의 산업 혁신성장 촉진법 제정 혹은 산업융합 촉진법 개정 등을 검토하고 있다.

또한 산업 유형별 데이터 포맷을 표준화하고 데이터 거래 가이드라인도 정립한다. 실례로 바이오 소재 데이터 코드·형식 표준화, 참조표준데이터 개발 연계 등을 추진하고 있다.

스스로 인식·학습·판단 등을 처리하는 지능형 반도체, 스마트 센서, 특정 기능을 학습해서 수행하는 임베디드 AI, 융합 로봇 등 데이터와 AI를 산업에 적용하는 데 필수적인 핵심 기술도 조기에 확보할 계획이다.

산업 디지털 인재 양성을 위해 업종 전문성을 보유한 재직자 중심으로 현장 디지털 전문인력 교육을 강화하고, 디지털 경영 전략을 선도할 변화인재(Change Agent)를 확보한다.

또한 석·박사급 산업 AI 전문인력 양성을 확대하고 빅데이터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 신설을 추진한다.

정승일 산업통상자원부 차관은 “디지털 기술이 산업 현장에서 원활하게 작동되도록 산업 디지털 융합 인재 1만6000명도 양성하겠다”고 밝혔다.

해외 데이터 수집·활용과 데이터 기반 신산업 해외 진출을 촉진하기 위한 디지털 통상협정(DPA)을 본격화하고 국가간 데이터 교류·활용 촉진, 데이터 기반 신산업의 국가간 상호 운용성 확보 등을 위한 디지털 협력사업도 발굴·추진하는 등 주요국들과 글로벌 협력사업도 확대한다.

4000억 원 규모의 산업 지능화 펀드를 통해 선도 기업에 60%이상 집중 투자하고 유망 프로젝트에 사업화 패키지를 지원한다.

아울러 NTB(국가기술은행) 등 기존 기술거래·평가 시스템을 데이터·AI기반 지능형 플랫폼으로 업그레이드한다.

‘산업 지능화 포럼’과 산업지능화 협회를 중심으로 대·중견·중소기업, 산·학·연, 데이터·AI 전문기업 등이 참여하는 ‘얼라이언스’ 운영을 통해 디지털 혁신 업계 수요 및 협업과제 발굴, 산업 지능화 방향을 설정한다.

민간기업의 디지털 경영전략 수립 촉진을 위한 CEO·임직원 컨설팅, DX 성공모델 보급도 추진할 계획이다.

정승일 산업통상자원부 차관은 “무엇보다 업계 수요에 기반하여 민간 중심의 협업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를 촉진함으로써 민간에서 디지털 전환이 활성화되도록 총력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