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제6차 지역에너지계획(’20~’25) 수립 발표

이민호 기자

대전시는 ‘제6차 지역에너지계획(‘20~’25)‘을 수립하고, 대전시 에너지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21일 발표했다.

 

지역에너지계획은 ‘에너지법 제7조’에 근거, 5년마다 5년 이상(’20~’25)을 계획기간으로 해 시·도지사가 관할 구역의 지역적 특성을 고려해 수립한다.

 

이 계획은 국가 에너지기본계획의 효율적인 달성과 지역경제 발전을 위해 지역 에너지 수급의 추이와 전망을 분석해 지역에너지 비전과 목표를 설정하고, 에너지의 안정적 공급을 위한 대책 등을 제시하는 법정 기본계획이다.

 

대전시는 ‘함께 살고 싶은 에너지전환 도시 대전’을 지역에너지 비전*으로 설정하고, 전력자립도 향상, 신재생에너지 확대, 온실가스 감축 분야에 3대 정책목표를 제시했다.


시는 아울러 동 비전과 3대 정책목표 달성에 필요한 6개 전략과제 36개 전략사업도 함께 제시했다.

대전시 1차 에너지 공급은 1,974천toe*로 전국 302,065천toe의 0.65%를 차지하며, 최종에너지 소비는 2,705천toe**로서 전국 233,901천toe의 1.16%로 적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17년 기준).


최종에너지 소비구조를 살펴보면, 석유제품의 상당량이 수송연료(913천toe, 87.5%)로, 천연가스는 상업·가정용 연료(560천toe, 80.5%)로, 전력은 상업·가정부문(489천toe, 60.4%)과 산업부문(227천toe, 28.0%)에서 주로 소비되고 있다.

 

대전시 에너지 소비구조 특징은 가정·상업부문(1,170천toe)이 전체 에너지 소비의 43.3%를 차지하고 있고, 산업부문(459천toe)은 전체의 17.0% 수준으로, 전남, 충남, 울산 등 1,2차 산업중심의 전통산업도시와는 다른 3차 산업의 에너지 소비구조를 보이고 있다.

 

대전시 전력자립도(전력생산량/전력소비량)를 살펴보면 1.96%(전력생산량 185Gwh, 전력소비량 9,424GWh(’17년도))로 17개 광역지자체 중 가장 취약한 것으로 조사됐으며, 이는 해당지역에서 전력생산을 위한 발전시설이 매우 부족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최근 지산지소(地産地消)의 개념이 널리 인식되면서 각 지자체별로 에너지자립화를 위한 노력이 심화되고 있는 추세며, 지자체별 에너지자립화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다.

 

에너지 패러다임 역시 중앙집중ㆍ공급중심에서 분산전원ㆍ수요중심으로 급변함에 따라 자립도가 낮은 지자체는 지역 에너지자립도 향상을 위한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대전시는 전력자립도 향상, 신재생에너지 확대, 온실가스 감축 부문에서 단기적으로 2025년, 장기적으로 2040년까지의 목표를 제시했다.

 

동 계획에서 제시한 ‘함께 살고 싶은 에너지전환 도시 대전’이라는 비전과 3대 정책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2025년까지 국비와 시비를 포함해 총 1조원 규모의 예산을 집중 지원할 예정이다.

 

효율적 지원을 위해 지역여건에 적합한 에너지이용 특성을 고려하여 ①안정적 에너지공급, ②신재생에너지 생산, ③에너지 이용합리화, ④미활용에너지 활용, ⑤에너지 복지증진, ⑥에너지신산업 육성 등 6대 전략분야를 제시하고 36개 과제를 발굴하여 추진할 예정이다.

 

주요 사업들을 살펴보면, 에너지 자립마을 조성 및 산업단지 태양광 설치 확대 등 신재생에너지 보급사업(1,942억 원), 도시가스 미공급지역의 점진적 해소(231억 원) 및 서민층 가스 안전장치 지원 사업 등 서민층 에너지복지 향상 사업(185억 원) 등이 있으며,

 

에너지신(新)산업 육성(1,276억 원)을 위한 수소산업 전주기 안전성 지원센터를 활용한 수소부품산업 육성, 수소충전소 핵심부품 국산화 개발, 박막 태양전지 제조ㆍ실증사업, 장기 드론용 배터리 개발사업 등이 있다.

 

온실가스와 미세먼지 감축을 위해 노후 경유차 조기폐차 유도(965억 원), 전기버스 120대와 전기차 1만 6,500여대를 추가로 보급하고, 수소버스 73대와 수소차 1,500여대의 보급 촉진을 위해 국시비(5,326억 원)를 적극 보조할 계획이다.

또한, 수소차 충전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12기의 수소충전소를 추가로 구축하고, 20MW 규모의 산업단지 내 수소연료전지 발전소도 구축할 계획이다.

 

아울러, 미활용에너지원 개발(85억 원)로 2025년 완공되는 하수처리장의 하수열 활용 사업과 바이오가스를 활용한 수소융복합충전소를 구축한다는 계획도 포함됐다.

 

이번에 수립한 지역 에너지계획은 시민 참여 에너지 정책 제안이 두드러지는데, 특히 음식물쓰레기를 활용한 바이오가스의 생산ㆍ공급과 같은 실질적 정책 제안은 물론 에너지자립마을 학교 10개 만들기 등 톡톡 튀는 신재생에너지 보급방안도 제시했다.

 

 한편, 시민들은 대전시의 에너지자원 잠재량과 에너지자립도가 매우 낮다는 시의 여건에 공감하고, 대다수가 전력생산시설의 확충이 필요(81.6%)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발전소 건설 등 에너지생산시설 건립에는 주민수용성이 타 지역에 비해 낮다는 분석결과가 나와 우리 지역의 에너지생산시설에 대한 님비현상은 앞으로 풀어나가야 할 숙제로 남아있다.

 

대전시는 동 지역 에너지계획 수립을 통해 시의 에너지 수급현황을 파악하고 안정적 에너지 확보차원의 에너지 공급확충 계획을 마련하는 등 에너지 인프라를 구축ㆍ확대해 나갈 수 있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전형적 에너지 소비도시로서의 특성을 고려한 에너지원(源) 발굴의 필요성을 언급하고 서민층 에너지복지 향상과 신재생에너지 중심의 융복합 신에너지산업 육성 사업 등을 발굴했다.

 

환경친화적 차원의 온실가스 감축 대책을 고려하여 수소차 및 전기차 보급을 확산하고 지역 내 에너지자원 활용과 부가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는 에너지 신산업으로 연계 방안을 제시했다.

 

아울러, 본 계획의 목표달성을 위해서는 과감한 실천과 지속적인 국비 확보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며, 시의 에너지자립도 향상을 위한 에너지 생산시설 확충에 대해서는 시민들의 인식 전환과 협조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