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행정통합’ 시도민 60% 이상 찬성
대구경북 통합에 대한 찬반의견
대구시민과 경북도민 60% 이상이 대구경북통합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론조사기관 2곳의 조사 결과로 대구시민은 물론 경북도민들도 수도권 일극체제에 따른 지역소멸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대구경북통합이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된 것으로 분석했다.
대구시가 ㈜코리아리서치인터내셔널에 의뢰해 지난달 27~29일 대구시민 1천명, 경북도민 1천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대구경북 통합 찬반 여론조사’에서 대구시민 68.5%와 경북도민 62.8%가 통합에 찬성했다. 반대는 대구시민 31.5%, 경북도민 37.2%다. (관련기사 참고)
대구는 서구(86.0%), 동구(73.1%), 남구(71.9%)가 70% 이상 찬성률을 보이는 등 9개 구·군 모두 찬성이 반대 의견보다 많았다.
경북도 권역별로 서부 70.7%, 남부 69.3%, 동부는 64.5%가 찬성해 반대의견보다 두배 이상 많았다. 인구 20만명 이상인 구미(71.3%)와 경주(70.9%)는 찬성률이 70%를 넘었고 포항(60.2%), 경산(67.4%)도 60% 이상이 찬성했다.
반면 안동, 영주, 예천 등을 중심으로 한 북부권은 찬성 42.6%, 반대 57.4%로 반대의견이 많았다. 반대가 많은 지역은 영주(71.9%), 안동(70.2%), 예천(66.7%)이었고 북부권 다른 시군을 비롯한 도내 19개 시·군은 찬성이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통합 찬성 이유로는 대구시민(61.7%)과 경북도민(50.1%) 절반 이상이 지역 경제성장과 일자리 창출을 꼽아 통합으로 지역 경제발전을 가장 바라고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대구시민은 낙후지역 균형발전(14.4%), 의료 등 복지서비스 향상(8.2%), 행정효율성 증대(8.2%)를, 경북도민은 낙후지역 균형발전(22.1%), 의료 등 복지서비스 향상(10.9%)을 들었다.
같은 기간 ㈜한국리서치 여론조사에서도 대구시민 1천명 중 62.8%가 통합에 찬성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찬성 이유도 지역 경제성장 및 일자리 창출(60.6%), 낙후지역 균형발전(17.2%), 행정효율성 증대(9.1%) 순으로 코리아리서치 조사 결과와 비슷하게 나왔다.
통합 반대 이유로 대구시민은 경제발전 효과 미흡(30.9%), 지역 갈등에 따른 사회적 비용 증가(25.4%)를, 경북도민은 특정지역 중심 예산 쏠림(35.9%), 경제발전 효과 미흡(19.0%) 등을 꼽았다.
여론조사는 대구시가 대구경북통합에 대한 대구시의회의 의견 청취을 앞두고 지역민들의 정확한 의사를 파악해 의회의 정책적 판단 자료로 제공하기 위해 실시했으며 정확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100% 전화면접 방식으로 진행했다. 조사 응답률은 코리아리서치 18.7%, 한국리서치 27.8%다.
대구시는 이번 조사에서 대구경북 시·도민들이 지역경제 성장과 균형발전에 대한 강한 염원을 가지고 있고 이는 양 시·도와 정부가 대구경북통합을 추진하는 궁극적인 목표와도 일맥상통한다는 점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이달 내로 대구시의회 심의와 의결을 거친 뒤 향후 경북도의회의 통합 의견청취안이 의결되면 내년 상반기까지 국회에서 특별법을 제정한 뒤 2026년 7월 대구경북특별시가 출범할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할 계획이다.
조사는 대구시가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코리아리서치인터내셔널,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성별, 연령별, 지역별 비례 할당 후 무작위 추출한 만 18세 이상 남녀를 대상으로 실시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3.1% 포인트다.
댓글 0개
| 엮인글 0개